안녕하세요!! 우당입니다~!!

여러분은 태극기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우리 선조들이 고심해서 만든
아름다운 뜻이 많이 담긴 태극기에 대해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그럼,
자랑스런 우리의 태극기에 대해
알아보러 가볼까요?
그리고
맨 아래쪽엔 태극기 그리는 법과 사진 파일이 있으니
사용하실분들은 다운받아 사용해 주시면 됩니다~

태극기의 역사
1882년 박영효가 고종의 명을 받아 일본에 가면서
‘태극·4괘 도안’의 기를 만들어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어요.
고종은 1883년 3월 6일 왕명으로 이 ‘태극·4괘 도안’의 태극기를 국기로 제정·공포했지만
국기 만드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하지 않은 탓에
다양한 형태의 국기가 사용되어 오다가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태극기의 제작법을 통일할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정부는 1949년 10월 15일 「국기제작법고시」를 통해 국기 제작 방법을 확정·발표하였답니다.
지금 태극기의 이미지가 바로 만들어졌느냐?
물론 아니에요
태극기의 변천사 한번 볼까요?
태극기의 변천사
1. 데니 태극기(1890년)
고종이 조선 정부의 외교 고문으로 일하던 미국인 데니(O.N. Denny)에게 하사한 태극기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소장하고 있는 가장 오랜 태극기에요
2. 본윅 태극기(1990년)
구한말 캐나다의 선교사로 우리나라에 온 본윅(Bonwick)이 한국인 친구로부터 받아
그의 딸이 독립기념관에 기증한 태극기에요
3. 박영효 태극기(1861~1939)
조선 왕조 말엽의 정치가 박영효(朴泳孝)가 소장했던 태극기에요
4. 남상락 태극기(1919년)
충청남도 당진군 대호지면에서
삼일운동을 주도했던 남상락(南相落, 1892~1931)이
만세시위 당시 사용하고 죽을 때까지 간직했던 태극기에요
5. 미주 지역 시위 태극기(1919.4.16)
미주 한인 동포들이 1919년 4월 16일
필라델피아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하고
시위 행진할 때 사용한 태극기에요
6. 임시의정원 태극기(1923년)
상해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에 걸렸던 태극기에요
7. 신규식 태극기(1921년)
1921년 신규식이 미국인 콘스탄틴 대위에게 기증한 태극기로,
콘스탄틴 대위가 소장했다가 이원태(자료 기증자)에게 준 태극기에요
8. 김구 서명 태극기(1941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 김구(金九, 1876~1949)가
1941년 3월 16일 중경에서
안창호(安昌浩, 1878~1938)의 부인인 이혜련 여사에게 보낸 친필 서명 태극기에요
9. 불원복기(1907년)
1907년 전라남도 구례 일대에서 활약한 고광순 의병장이
일본군과 싸울 때
항상 가슴에 품고 다니던 태극기에요
(광복이 멀지 않았다는 뜻의 ‘불원복(不遠復)’이 태극기에 써 있어 ‘불원복기’라고 부름).
10. 광복기념 태극기(1945.8)
중국 안휘성(安徽省)정부에서 주최한 연합국 승리 경축 시민대회 때
광복 축하기념으로
우리 광복군 3지대 2구대 대원에게 만들어 기증한 광복기념 태극기에요
11. 학도병 서명 태극기(1950.9.1)
제 3차 학도병지원 당시 학도병들이 서명한 태극기에요
(조국을 위해 몸 바칠 것을 맹세하고, 부산주둔 육군부대에 입대할 때 사용)
12. 6.25 당시 태극기(1949.6.18)
1957년 상사로 예편한 천봉희 씨가
입대할 때 소지해 6.25동란 당시 계속 보관했던 태극기에요

모양이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 틀은 거의 같은데요!!
태극기 안에 담긴뜻에 대해
알아 볼까요?
태극기의 담긴 뜻
우리나라 국기(國旗)인 태극기(太極旗)는
흰색 바탕에 가운데 태극문양과
네모서리의 건곤감리(乾坤坎離) 4괘(四卦)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건괘(乾卦)-하늘
곤괘(坤卦)-땅
감괘(坎卦)-물
이괘(離卦)-불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나타냅니다.
태극 문양은 음(파랑)과 양(빨강)의 조화를 상징하며
만물이 음양의 조화로 인해 생명을 얻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표현해낸 것입니다.
국기 게양
게양이란? '기 따위를 높이 걺' 이라고 하네요.
걺 보다는
닮, 올림으로 순화시키는 것이 좋다고 하네요.
게양하다는 '기 따위를 높이 걸다' 라는 뜻이겠죠?
태극기는 국경일 등이 아니어도 매일 24시간 게양할 수 있으나
태극기는 국경일이나 주요 기념일에 답니다.
3월 1일(3·1절)
6월 6일(현충일, 조기)
7월 17일(제헌절)
8월 15일(광복절)
10월 1일(국군의 날)
10월 3일(개천절)
10월 9일(한글날)
야간에는 적절히 조명해야 합니다.
단,
학교나 군부대는 낮에만 게양합니다.(국기 게양 및 강하를 매일 실시)
국기가 훼손이 우려되는 경우(심한 눈ㆍ비와 바람 등)에는 게양하지 않도록 합니다.
국기를 게양하는 시간 | ||
국기를 매일 게양ㆍ강하하는 경우 국기 게양 및 강하 시각 | ||
기간 | 게양 시각 | 강하 시각 |
3월 ~ 10월 | 07:00 | 18:00 |
11월 ~ 다음해 2월 | 07:00 | 17:00 |
아래에 있는 그림은 국기 게양하는 방법입니다.
제가
초등학교 시절,
체육대회나 학굣에 행사가 있을 때에는
운동장에 나가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한후 애국가를 제창 했는데
요즘은 어떻게 바뀌었나요~?
국기에 대한 맹세는 대한민국에서 국민의례를 할 때 낭송하는 것으로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한 번 정도는 들어봤을 문장이죠??
하지만,
이 문장이 지난 2007년 7월 27일 이전에는 지금과는 조금 달랐습니다.
기존의 맹세문은
“나는 자랑스런 태극기 앞에 조국과 민족의 무궁한 영광을 위하여 몸과 마음을 바쳐 충성을 다할 것을 굳게 다짐합니다”
였습니다.
하지만 행정자치부는
‘자랑스런’이라는 문구가 문법에 어긋나다는 지적에 의해 ‘자랑스러운’으로 바뀌었고,
또한, 변화한 시대상에 맞지 않는 표현을 수정할 목적으로
‘조국과 민족’은 ‘자유롭고 정의로운 대한민국’으로
‘몸과 마음을 바쳐’라는 문장은 애국심을 강요하는 느낌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삭제해,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습니다.
혹시
집에 태극기를 보관하고 계신가요~?
태극기의 구입처와 보관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국기의 보관ㆍ관리 방법
국기에 때가 묻거나 구겨진 경우
국기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를 세탁하거나 다림질하여 게양ㆍ보관할 수 있습니다.
국기(게양용, 차량용, 수거용 등 모든 종류)가 훼손된 때에는 이를 함부로 버리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해서는 안되며,
지체없이 소각 등 적절한 방법으로 폐기하여야 합니다.
민원실, 주민센터 등에
국가수거함을 설치ㆍ운영하여 지역주민들로 하여금 오염ㆍ훼손된 국기를 쉽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합니다.
태극기 구입처
태극기는 각급 지방자치단체(시ㆍ군ㆍ구청 및 읍ㆍ면ㆍ동 주민센터 등) 민원실이나 구내매점, 인터넷 우체국(www.epost.kr) 또는 가까운 우체국의 “우체국쇼핑(상품카탈로그)”을 이용하거나 인터넷 태극기 판매업체 등을 통해 구입할 수 있습니다.
태극기에 대해 많이 알아가셨나요?

태극기에 대해 공부하다보니
태극기 안에 '괘'라는 엄청난 아이가 숨겨져 있다라구요
'괘'의 뜻은
역학(易學)에서 자연계와 인간계의 본질을 인식하고 설명하는 유교기호. 괘명이에요.
팔괘는 자연계 구성의 기본이 되는 하늘·땅·못·불·지진·바람·물·산 등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다음시간엔 8괘에 대해 알아볼게요!!
'소소한 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소한 팁들)) 팔괘 (0) | 2024.08.21 |
---|---|
TIP)) 티 스토리 애드센스 등록 하기 (4) | 2024.08.03 |
TIP)) 아파트 아이 관리비 자동이체 (0) | 2024.07.26 |